백준 1012번: 유기농 배추
문제
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.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, 한나는 해충 방지에 효과적인 배추흰지렁이를 구입하기로 결심한다. 이 지렁이는 배추근처에 서식하며 해충을 잡아 먹음으로써 배추를 보호한다. 특히, 어떤 배추에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라도 살고 있으면 이 지렁이는 인접한 다른 배추로 이동할 수 있어, 그 배추들 역시 해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.
(한 배추의 상하좌우 네 방향에 다른 배추가 위치한 경우에 서로 인접해있다고 간주한다)
한나가 배추를 재배하는 땅은 고르지 못해서 배추를 군데군데 심어놓았다. 배추들이 모여있는 곳에는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만 있으면 되므로 서로 인접해있는 배추들이 몇 군데에 퍼져있는지 조사하면 총 몇 마리의 지렁이가 필요한지 알 수 있다.
예를 들어 배추밭이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최소 5마리의 배추흰지렁이가 필요하다.
(0은 배추가 심어져 있지 않은 땅이고, 1은 배추가 심어져 있는 땅을 나타낸다.)
1 | 1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
0 | 1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
0 | 0 | 0 | 0 | 1 | 0 | 0 | 0 | 0 | 0 |
0 | 0 | 0 | 0 | 1 | 0 | 0 | 0 | 0 | 0 |
0 | 0 | 1 | 1 | 0 | 0 | 0 | 1 | 1 | 1 |
0 | 0 | 0 | 0 | 1 | 0 | 0 | 1 | 1 | 1 |
입력
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첫째 줄에는 배추를 심은 배추밭의 가로길이 M(1 ≤ M ≤ 50)과 세로길이 N(1 ≤ N ≤ 50), 그리고 배추가 심어져 있는 위치의 개수 K(1 ≤ K ≤ 2500)이 주어진다. 그 다음 K줄에는 배추의 위치 X(0 ≤ X ≤ M-1), Y(0 ≤ Y ≤ N-1)가 주어진다.
출력
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필요한 최소의 배추흰지렁이 마리 수를 출력한다.
-
-
DFS의 가장 기초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는 『2차원 그래프에서 상하좌우로 연결되어있는 집합의 갯수찾기』문제이다.
이 소스의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.
- 그래프를 (0,0)부터 탐색한다
- (x,y)의 값이 1인경우 집합의 갯수를 하나 늘리며 재귀함수로 들어간다
- 재귀함수에서 그래프 범위 밖으로 나가지 않는 한에서 상하좌우의 값이 1인 경우를 탐색한다
- 현재 위치 (x,y)의 값을 0으로 한다.
- [3]의 조건이 만족한다면 그 좌표로 이동한다. 만약 상하좌우에도 값이 1인 경우가 없다면 자신을 호출한 함수로 반환(return)한다.
- 3~5의 과정을 반복하다보면 결국 연결된 어느 지점에서나 [3]의 조건이 만족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. 이때는 다시 (x,y)로 돌아올것이다.
- 2~6의 과정을 반복한다
꽤 복잡해보이지만 재귀함수와 여러 변수들을 잘 사용할 줄 알고 알고리즘의 원리를 알면 간단한 문제이다.
'ACMICPC.NE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667번: 단지번호붙이기 (0) | 2017.06.11 |
---|---|
붙어있는 숫자 입력방법 (0) | 2017.06.11 |
DFS - Depth First Search(깊이우선탐색) (0) | 2017.05.20 |
메모이제이션 - Memoization (0) | 2017.05.06 |
동적 계획법 - Dynamic Programming (0) | 2017.05.06 |